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회전근개 파열이란? 원인부터 재활까지 총정리

by meriels 2025. 3. 4.

어깨 회전근개 통증사진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를 움직이는 힘줄이 손상되거나 끊어지는 질환으로, 주로 퇴행성 변화나 반복적인 어깨 사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어깨 통증과 운동 제한이 나타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회전근개 파열의 원인과 증상, 수술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그리고 효과적인 재활 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회전근개 파열이란? 주요 원인과 증상

회전근개란?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힘줄(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로 구성되며, 팔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힘줄들이 손상되거나 파열되면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주요 원인

회전근개 파열은 크게 퇴행성(노화로 인한 변화)과 외상성(충격에 의한 손상) 원인으로 나뉩니다.

퇴행성 원인 (자연적인 노화 및 과사용)

  • 연령 증가: 50세 이상에서 퇴행성 변화로 인해 힘줄이 약해지면서 쉽게 파열될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어깨 사용: 골프, 야구, 테니스, 수영 등 어깨를 많이 쓰는 운동에서 나타납니다.
  • 직업적 요인: 건축업, 목수, 페인터 등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
  • 혈액순환 감소: 힘줄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면서 자연적인 회복력이 저하됩니다.

외상성 원인 (갑작스러운 충격 및 부상)

  • 낙상 또는 교통사고: 어깨를 직접 부딪히거나 손을 짚으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 때: 지나친 하중이 힘줄에 부담을 주어 손상될수 있습니다.
  • 어깨를 갑자기 비틀거나 뒤로 젖힐 때: 스포츠나 일상에서 발생 가능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주요 증상

초기 증상 (경미한 손상)

  • 팔을 올릴 때 어깨 통증이 느껴집니다.
  • 특정 각도에서 찌릿한 통증 발생
  • 휴식 시에는 통증이 줄어들지만 활동하면 심해집니다.

중기 증상 (부분 파열 진행)

  • 야간 통증이 심해지고, 특히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어려움이 생깁니다.
  • 팔을 올리거나 돌릴 때 힘이 부족하고 삐걱거리는 느낌 발생합니다.
  • 어깨 근력이 약해지면서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심각한 증상 (완전 파열)

  • 어깨를 거의 움직일 수 없으며 팔이 들리지 않는 경우가 생깁니다.
  • 작은 움직임에도 극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 어깨 근육이 위축되면서 눈에 띄게 작아집니다.

2. 회전근개 파열 치료 방법 (비수술 vs 수술 치료)

비수술적 치료 (초기~중기 파열)

  •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NSAIDs)를 사용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할수 있습니다.
  • 물리치료 및 운동 치료: 온찜질 및 초음파 치료를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을 이완해줄수 있습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를 사용해 단기적으로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보조기 착용: 어깨 보호대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제한하고 손상을 방지할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중기~말기 파열)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비수술적 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했으나 증상 개선이 없을떄 합니다.
  • 힘줄이 완전히 파열되어 어깨를 거의 사용할 수 없음
  • 지속적인 통증과 근력 저하로 일상생활이 어려움

수술 방법

  • 관절경 수술: 작은 절개를 통해 내시경으로 힘줄을 봉합하는 방법 (회복이 빠름)
  • 개방적 봉합 수술: 완전 파열된 경우 힘줄을 직접 꿰매는 방식 (회복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인공 힘줄 이식: 힘줄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인공 조직을 삽입하는 수술

3. 회전근개 파열 재활 및 회복 과정

수술 후 회복 단계

1단계 (수술 후 1~6주) - 보호 및 통증 조절

  • 어깨 보호대를 착용하여 힘줄을 보호
  • 가벼운 진동 치료 및 수동적 운동 시작

2단계 (6~12주) - 가동 범위 증가

  • 점진적으로 어깨를 움직이는 운동 시작
  • 통증이 감소하면 가벼운 근력 운동 병행

3단계 (3~6개월) - 근력 회복

  • 탄력 밴드 및 가벼운 덤벨을 이용한 근력 강화 운동
  • 일상적인 어깨 사용이 가능해짐

4단계 (6개월~1년) - 정상 생활 복귀

  • 본격적인 스포츠 활동 및 무거운 물건 들기 가능
  • 어깨를 보호하기 위한 지속적인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 필요

회전근개 파열 예방 방법

  • 운동 전후 어깨 스트레칭 및 워밍업 필수
  • 무리한 동작이나 과도한 하중 피하기
  • 규칙적인 근력 운동을 통해 어깨 주변 근육 강화

결론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이 있다면 비수술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심한 경우에는 수술과 재활을 병행하여 정상적인 어깨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깨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의 상담을 받아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